본문 바로가기

오늘의 공부/코딩테스트

(11)
[code up] 변수 출력하기 1. print 사용하기 print("어떤 문자열") print(변수명) print 함수를 사용하면 () 안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. print 함수 안에 여러 변수를 , 를 이용하여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다. 2. % : 형 변환하여 출력하기 print("나는 사과를 %d개 먹었다, %s " %(15, '굿') ) 포멧을 지정하기 때문에 출력 형식도 정할 수 있다. 가령, float 의 경우 ani_float = 3.141592653 print("%f" %ani_float) >> 3.141593 ..........소수점 아래 6자리 수까지 나온다. print('%0.f' %ani_float) >> 3 ..........소수점 아래는 나오지 않는다. print('%.3f' %ani_float) >> 3..
[code up] 1008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8 이번에는 특수문자를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자. 키보드로 입력할 수 없는 다음 모양을 출력해보자. (** 참고 : 운영체제의 문자 시스템에 따라 아래와 같은 모양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.) ┌┬┐ ├┼┤ └┴┘ 참고 다음과 같은 유니코드로 특수문자를 표현한다고 하자. (운영체제 또는 컴파일러에 따라 사용되는 문자의 코드표가 다르다.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문자 인코딩 문자를 입출력할 때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부호화하고, 인간이 이해할 수 있도록 복호화 하는 문자 인코딩 과정이 필요하다. 문자셋은 ASCII 코드처럼 문자를 더이상 추가할 수 없는 경우와 UNICODE 처럼 문자를 계속 추가할 수 있는 경우가 존재..
[code up] 기초 100제 참고 백슬래시 문자 '\'는 글꼴 설정에 따라, 'W'와 비슷한 원표시('₩')로 보이기도 하지만 같은 문자이다. printf( ) 함수를 이용해 문장을 출력할 때, 줄을 바꾸기 위해서는 '\n'(new line을 의미)을 줄을 바꿀 위치에 넣어야 한다. '\t'는 탭(tab), '\c'은 캐리지리턴(carriage return, 그 줄의 맨 앞으로 커서를 보냄) 등이 있다. 이러한 문자를 이스케이프(escape) 문자라고 하고, 출력하는 문장 안에서 원하는 형식에 맞추어 출력할 수 있도록 줄을 바꾸는 등의 특별한 의미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.